에두아르도 갈레아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두아르도 갈레아노는 우루과이 출신의 저널리스트이자 작가로, 라틴 아메리카의 역사와 현실을 독창적인 문학 형식으로 풀어냈다. 1940년 몬테비데오에서 태어나 1960년대 좌파 언론에서 활동했으며, 1973년 우루과이 쿠데타 이후 망명 생활을 겪었다. 대표작으로는 라틴 아메리카의 수탈 역사를 다룬 『라틴 아메리카의 열린 정맥』과 북•남미 역사를 다룬 3부작 『불의 기억』 등이 있다. 2015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에두아르도 갈레아노 |
본명 | 에두아르도 헤르만 마리아 우헤스 갈레아노 |
출생일 | 1940년 9월 3일 |
출생지 | 몬테비데오, 우루과이 |
사망일 | 2015년 4월 13일 |
사망지 | 몬테비데오, 우루과이 |
로마자 표기 | Eduardo Hughes Galeano |
직업 | |
직업 | 작가, 저널리스트 |
배우자 | |
배우자 | 헬레나 비야그라 |
작품 | |
대표 작품 | 수탈된 대지 라틴 아메리카 오백년 |
기타 |
2. 생애
에두아르도 갈레아노는 몬테비데오에서 유럽계 혈통을 가진 가톨릭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축구선수를 꿈꿨으며, 이는 그의 저서 <<축구의 신과 악마>> 등에 반영되어 있다. 10대에는 공장 노동자, 은행 직원 등 여러 직업을 전전했다.
1960년대에 갈레아노는 저널리스트로서 경력을 시작했다.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마리오 베네데티 등 저명한 기고가들이 참여했던 영향력 있는 주간지 <<마르차(Marcha)>>와 일간지 <<에포카(Época)>>의 편집장을 역임했다.
1973년 군사 쿠데타 이후, 아르헨티나로 망명하여 잡지 <<크리시스(Crisis)>>를 창간했다. 1976년 아르헨티나에서 비델라 정권의 군부 쿠데타 발생 후, 스페인으로 망명하여 ''불의 기억'' 3부작을 집필했다.
1985년 우루과이에 문민정부가 들어서면서 몬테비데오로 돌아왔다. 2004년 우루과이 선거에서 타바레 바스케스와 광범위 전선 연합의 승리로 우루과이 최초의 좌파 정부가 탄생하자, 새 정부를 지지했다. 2005년 베네수엘라 카라카스에 본부를 둔 라틴 아메리카 텔레비전 방송국 텔레수르(TeleSUR) 자문위원회에 합류했다.
갈레아노는 폐암으로 투병하다 2015년 4월 13일 몬테비데오에서 7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에두아르도 헤르만 마리아 휴스 갈레아노(Eduardo Germán María Hughes Galeano)는 1940년 9월 3일 우루과이 몬테비데오에서 태어났다.[2] 웨일스 및 이탈리아(제노아 출신) 고조 할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두 개의 성과, 독일과 스페인 출신의 두 개의 성을 가지고 있었다.[4] 갈레아노는 어머니 쪽 성을 사용하여 글을 썼으며, 젊은 시절 우루과이 사회주의 출판물인 ''엘 솔(El Sol)''에 잠시 기고할 때는 "지우스(Gius)"라는 필명을 사용했는데, 이는 그의 아버지 성 휴스(Hughes)의 스페인어 발음에 가까운 가명이었다.[5] 갈레아노의 가족은 몰락한 우루과이 귀족 출신이었다.중학교 2년 과정을 마친 후, 14세에 심부름꾼, 차표 수금원 등 다양한 직업을 전전하다 엘 솔(El Sol)에 자리 잡았다. 그는 십대 시절에 쓴 만화를 우루과이 사회주의 주간지에 처음 발표했다. 갈레아노는 그림에 대한 열정을 평생 동안 간직했으며, 그의 삽화는 후기 저서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그의 서명에는 종종 손으로 그린 작은 돼지 그림이 함께 있었다.[6] 1960년대 내내 저널리스트로서 좌파 출판물에서 명성을 얻었고, 마르차(Marcha)지의 편집장이 되었다. 이 영향력 있는 주간지에는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마리오 베네데티, 마누엘 말도나도 데니스, 로베르토 페르난데스 레타마르 등과 같은 기고가들이 있었다. 2년 동안 일간지 ''에포카(Época)''를 편집하고 대학 출판부 편집장으로 일했다. 1959년 첫 번째 아내인 실비아 브란도와 결혼했고, 1962년 이혼 후 그라시엘라 베로와 재혼했다.[7]
2. 2. 언론인 및 작가 활동
에두아르도 갈레아노는 1960년부터 1964년까지 몬테비데오의 유력 주간지 <<마르차(Marcha)>>와 일간지 <<에포카(Época)>>의 편집장을 맡아 진보적인 입장을 밝혔다.[40] <<마르차>>는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마리오 베네데티 등 저명한 기고가들이 참여했던 영향력 있는 주간지였다.[7] 1973년 우루과이에서 군사 쿠데타가 발생하자[8] 아르헨티나로 망명하여 잡지 <<크리시스(Crisis)>>를 창간하였다.[8] 그러나 1976년 아르헨티나에서 비델라 정권의 군부 쿠데타가 발생하자[10] 다시 스페인으로 망명하였다.[10] 그곳에서 그는 "아메리카 대륙 식민주의에 대한 가장 강력한 문학적 규탄"으로 묘사되는 그의 유명한 3부작 ''불의 기억''(Memoria del fuego)을 썼다.[10]1985년 초 우루과이에 문민정부가 들어서면서 몬테비데오로 돌아왔다.[11] 2004년 우루과이 선거에서 타바레 바스케스와 광범위 전선 연합이 승리하여 우루과이 역사상 최초의 좌파 정부가 탄생하자,[11] 갈레아노는 ''더 프로그레시브(The Progressive)''지에 "국민들이 두려움에 맞서 투표한 곳"이라는 제목의 글을 써서 새 정부를 지지했다. 그는 우루과이 국민들이 "상식"을 사용했으며 전통적인 콜로라도당과 블랑코당에 "속아 넘어가는 것에 지쳤다"고 평가했다.[11] 2005년에는 베네수엘라 카라카스에 본부를 둔 라틴 아메리카 텔레비전 방송국인 텔레수르(TeleSUR) 자문위원회에 타리크 알리, 아돌포 페레스 에스키벨 등과 함께 합류했다.[12]
2. 3. 망명과 귀환
1973년 군사 쿠데타로 우루과이 정권이 장악되자 갈레아노는 투옥되었고, 이후 망명을 강요받아 아르헨티나로 이주했다. 그곳에서 그는 ''크리시스(Crisis)''라는 잡지를 창간했다.[8] 그의 1971년 저서인 ''라틴 아메리카의 열린 정맥''은 우루과이뿐만 아니라 칠레와 아르헨티나에서도 우익 군사 정부에 의해 금서가 되었다.[9]1976년 비델라 정권이 피비린내 나는 군사 쿠데타로 아르헨티나 정권을 장악하면서, 갈레아노의 이름은 사살대에 의해 처형될 사람들의 명단에 추가되었다. 그는 다시 한번 스페인으로 망명해야 했고,[6] 그곳에서 "아메리카 대륙 식민주의에 대한 가장 강력한 문학적 규탄"으로 묘사되는 그의 유명한 3부작 ''메모리아 델 푸에고(Memoria del fuego)''(불의 기억)를 썼다.[10]
1985년 초, 민주화가 이루어지자 갈레아노는 몬테비데오로 돌아왔다. 타바레 바스케스와 광범위 전선 연합의 승리와 2004년 우루과이 선거에서 우루과이 역사상 최초의 좌파 정부가 탄생하자, 갈레아노는 ''더 프로그레시브(The Progressive)''지에 "국민들이 두려움에 맞서 투표한 곳"이라는 제목의 글을 써서 새 정부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고, 우루과이 국민들이 "상식"을 사용했으며 전통적인 콜로라도당과 블랑코당에 "속아 넘어가는 것에 지쳤다"고 결론지었다.[11]
2. 4. 정치적 활동 및 견해
1973년 군사 쿠데타로 우루과이 정권이 장악되자 갈레아노는 투옥되었고, 이후 망명을 강요받아 아르헨티나로 이주하여 ''크리시스(Crisis)''라는 잡지를 창간했다.[8] 그의 1971년 저서인 ''라틴 아메리카의 열린 정맥''은 우루과이뿐만 아니라 칠레와 아르헨티나에서도 우익 군사 정부에 의해 금서가 되었다.[9] 1976년 비델라 정권이 피비린내 나는 군사 쿠데타로 아르헨티나 정권을 장악하면서 그의 이름은 사살대에 의해 처형될 사람들의 명단에 추가되었고, 그는 다시 한번 스페인으로 망명했다.[6]2004년 우루과이 선거에서 타바레 바스케스와 광범위 전선 연합이 승리하여 우루과이 역사상 최초의 좌파 정부가 탄생하자, 갈레아노는 ''더 프로그레시브(The Progressive)''지에 "국민들이 두려움에 맞서 투표한 곳"이라는 제목의 글을 써서 새 정부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고, 우루과이 국민들이 "상식"을 사용했으며 전통적인 콜로라도당과 블랑코당에 "속아 넘어가는 것에 지쳤다"고 결론지었다.[11]
베네수엘라 카라카스에 본부를 둔 라틴 아메리카 텔레비전 방송국인 텔레수르(TeleSUR)가 2005년에 설립된 후, 갈레아노는 타리크 알리와 아돌포 페레스 에스키벨과 같은 다른 좌파 지식인들과 함께 이 네트워크의 36명의 자문위원회에 합류했다.[12]
2009년 4월 17일 트리니다드 토바고 포트오브스페인에서 열린 제5차 미주 정상회의 개막식에서 베네수엘라 대통령 우고 차베스는 이 지역을 처음으로 외교 방문한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에게 갈레아노의 ''라틴 아메리카의 열린 정맥'' 스페인어판을 선물했다.[15]
2009년 5월 인터뷰에서 그는 과거와 최근 작품에 대해 이야기했는데, 그중 일부는 자유와 노예 제도, 민주주의와 독재 사이의 관계를 다룬다고 말했다. "미국뿐만 아니라 일부 유럽 국가들도 전 세계에 군사 독재를 확산시켰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마치 민주주의를 가르칠 수 있는 것처럼 느낍니다."[16]
2014년 4월 갈레아노는 ''제2회 브라질 도서 및 독서 비엔날레(II Bienal Brasil do Livro e da Leitura)''에서 인터뷰를 통해 ''라틴 아메리카의 열린 정맥(Las Venas Abiertas de América Latina)''의 글쓰기 스타일의 일부 측면을 후회한다고 말했다. "시간이 지났고, 저는 다른 것들을 시도하기 시작했고, 인간 현실 전반과 특히 정치 경제에 더 가까이 다가가려고 노력했습니다. '열린 정맥'은 정치 경제 책이 되려고 했지만, 저에게는 필요한 교육이 없었습니다. 저는 그것을 쓴 것을 후회하지 않지만, 제가 이미 지나온 단계입니다."[17] 그러나 호르헤 마후드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오래전에 쓰여진 이 책은 여전히 살아 숨 쉬고 있습니다. 저는 단지 제 삶의 이 시점에서 옛날 글쓰기 스타일이 다소 딱딱해 보이고, 이제는 점점 간결하고 자유로운 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그 글에서 제 자신을 알아보기 어렵다는 것을 인정할 만큼 충분히 정직합니다. 저와 '라틴 아메리카의 열린 정맥'에 대해 제기된 목소리들은 심각하게 악의에 차 있습니다."[18]라고 말했다.
2. 5. 말년과 죽음
1985년 초, 우루과이에서 민주화가 이루어지자 갈레아노는 몬테비데오로 돌아왔다.[10] 2004년 우루과이 선거에서 타바레 바스케스와 광범위 전선 연합이 승리하여 우루과이 역사상 최초의 좌파 정부가 탄생하자, 갈레아노는 ''더 프로그레시브(The Progressive)''지에 "국민들이 두려움에 맞서 투표한 곳"이라는 제목의 글을 써서 새 정부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그는 우루과이 국민들이 "상식"을 사용했으며 전통적인 콜로라도당과 블랑코당에 "속아 넘어가는 것에 지쳤다"고 결론지었다.[11]2005년, 베네수엘라 카라카스에 본부를 둔 라틴 아메리카 텔레비전 방송국인 텔레수르(TeleSUR)가 설립된 후, 갈레아노는 타리크 알리, 아돌포 페레스 에스키벨과 같은 다른 좌파 지식인들과 함께 이 네트워크의 36명 자문위원회에 합류했다.[12]
2007년 2월 10일, 갈레아노는 폐암 치료를 위한 수술을 성공적으로 받았다.[13] 2008년 11월 버락 오바마가 미국 대통령으로 선출된 후, 저널리스트 에이미 구드먼과의 인터뷰에서 갈레아노는 "다가올 시간 동안 백악관은 버락 오바마의 집이 될 것이지만, 이 백악관은 흑인 노예들에 의해 지어졌습니다. 그리고 저는 그가 이것을 결코, 결코 잊지 않기를 바랍니다."라고 말했다.[14] 2009년 4월 17일, 트리니다드 토바고 포트오브스페인에서 열린 제5차 미주 정상회의 개막식에서 베네수엘라 대통령 우고 차베스는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에게 갈레아노의 ''라틴 아메리카의 열린 정맥'' 스페인어판을 선물했다.[15]
2009년 5월 인터뷰에서 그는 과거와 최근 작품에 대해 이야기했는데, 그중 일부는 자유와 노예 제도, 민주주의와 독재 사이의 관계를 다룬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뿐만 아니라 일부 유럽 국가들도 전 세계에 군사 독재를 확산시켰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마치 민주주의를 가르칠 수 있는 것처럼 느낍니다."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자신의 글쓰기 스타일이 어떻게, 왜 변했는지, 그리고 최근 인기가 높아진 이유에 대해 이야기했다.[16]
갈레아노는 2015년 4월 13일 몬테비데오에서 폐암으로 74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세 번째 부인인 엘레나 비야그라와 세 자녀가 남았다.[26][27][28]
3. 작품 세계
에두아르도 갈레아노는 라틴 아메리카의 역사와 현실을 독특한 문학적 스타일로 그려낸 작가이다. 그의 작품은 단순한 역사 서술을 넘어, 시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으로 억압받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대변한다.
갈레아노의 대표작 『라틴 아메리카의 열린 정맥』(1971)은 콜럼버스 시대부터 현대까지 라틴 아메리카가 겪은 경제적 착취와 정치적 지배를 다룬다. 이 책은 라틴 아메리카 좌파의 고전으로 꼽히며, 2009년 우고 차베스 베네수엘라 대통령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에게 선물하면서 영어권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다.[22][23]
『불의 기억』(1982-1986)은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역사를 3부작으로 구성한 작품이다. 콜럼버스 이전 시대의 신화부터 1980년대까지, 역사 속 인물들의 이야기를 짧은 에피소드로 엮어 식민 지배의 역사와 저항 정신을 보여준다. 이 작품은 존 도스 파소스,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와 비교되며, 새로운 문학 장르를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단편집 『포옹의 책』(1989)은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비판과 이상적인 사회에 대한 갈레아노의 관점을 담고 있다.
갈레아노는 축구에 대한 열렬한 팬이기도 했다. 『경기장의 신과 악마: 축구 외전』(1995)에서는 축구 경기를 전쟁과 극장 공연에 비유하며, 축구 관련 국제 기구의 부패를 비판하는 동시에 축구의 매력을 부정하는 좌파 지식인들을 비판한다.
갈레아노는 ''더 프로그레시브'', ''더 뉴 인터내셔널리스트'', ''먼슬리 리뷰'', ''네이션'' 등 다양한 매체에 기고했다. 그의 글은 푸에르토리코의 누에바 칸시온 음악가 로이 브라운과 메콘스의 음악에도 영감을 주었다.
3. 1. 주요 작품
다음은 에두아르도 갈레아노의 주요 작품 목록이다.
갈레아노의 대표작은 다음과 같다.
- 『피탈당한 땅: 500년간의 라틴아메리카』(1971): 콜럼버스 시대부터 현재까지 라틴 아메리카의 역사를 다룬 책이다. 라틴 아메리카 좌파의 고전으로 평가받으며, 2009년 우고 차베스 베네수엘라 대통령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에게 선물하면서 영어권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다.[22][23]
- 『불의 기억』(1982-1986): 남북 아메리카 역사를 다룬 3부작이다.
- 『경기장의 신과 악마: 축구 외전』(1995): 축구의 역사와 자신의 경험을 담은 책이다.
3. 2. 문학적 특징
에두아르도 갈레아노는 라틴 아메리카의 역사와 현실을 독특한 문학적 스타일로 그려낸 작가이다. 그의 작품은 단순한 역사 서술을 넘어, 시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으로 억압받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대변한다.갈레아노의 대표작 중 하나인 『라틴 아메리카의 열린 정맥』(1971)은 콜럼버스 시대부터 현대까지 라틴 아메리카가 겪은 경제적 착취와 정치적 지배를 다룬다. 이 책은 라틴 아메리카 좌파의 고전으로 꼽히며, 2009년 우고 차베스 베네수엘라 대통령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에게 선물하면서 영어권에서도 큰 인기를 얻었다.[22][23]
『불의 기억』(1982-1986)은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역사를 3부작으로 구성한 작품이다. 콜럼버스 이전 시대의 신화부터 1980년대까지, 역사 속 인물들의 이야기를 짧은 에피소드로 엮어 식민 지배의 역사와 저항 정신을 보여준다. 이 작품은 존 도스 파소스,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와 비교되며, 새로운 문학 장르를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았다.[19]
단편집 『포옹의 책』(1989)은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비판과 이상적인 사회에 대한 갈레아노의 관점을 담고 있다. 이 책은 문학적 이야기와 함께 정치, 예술, 가치에 대한 그의 생각을 보여준다.
갈레아노는 축구에 대한 열렬한 팬이기도 했다. 『경기장의 신과 악마: 축구 외전』(1995)에서는 축구 경기를 전쟁과 극장 공연에 비유하며, 축구 관련 국제 기구의 부패를 비판하는 동시에 축구의 매력을 부정하는 좌파 지식인들을 비판한다.
갈레아노는 ''더 프로그레시브'', ''더 뉴 인터내셔널리스트'', ''먼슬리 리뷰'', ''네이션'' 등 다양한 매체에 기고했다. 그의 글은 푸에르토리코의 누에바 칸시온 음악가 로이 브라운과 메콘스의 음악에도 영감을 주었다.
4. 수상 내역
5. 작품 목록
참조
[1]
뉴스
Eduardo Galeano: The beautiful game loses its man of letters
http://america.aljaz[...]
2021-09-03
[2]
뉴스
Eduardo Galeano, influential Uruguayan author, dies at 81
https://www.washingt[...]
2021-09-03
[3]
뉴스
Uruguayan writer Eduardo Galeano dies at 81
http://latino.foxnew[...]
2021-09-03
[4]
논문
1992
[5]
뉴스
Eduardo Galenao, Uruguayan Voice of Anti-Capitalism, Is Dead at 81
2021-09-14
[6]
웹사이트
Entrevista a Eduardo Galeano
https://www.ivoox.co[...]
2010-03-15
[7]
논문
1980
[8]
문서
Eduardo Galeano
[9]
웹사이트
Fresh Off Worldwide Attention for Joining Obama’s Book Collection, Uruguayan Author Eduardo Galeano Returns with "Mirrors: Stories of Almost Everyone"
http://www.democracy[...]
[10]
논문
1991
[11]
간행물
Where the People Voted Against Fear
http://progressive.o[...]
The Progressive
2005-01
[12]
뉴스
'Chavez TV' beams into South America
https://www.theguard[...]
2005-07-26
[13]
뉴스
Eduardo Galeano se recupera de operación
http://www.elunivers[...]
2007-02-11
[14]
웹사이트
Interview with Amy Goodman
http://www.democracy[...]
2008-11-05
[15]
웹사이트
Obama fields press, gifts in first 100 days – Washington Times
http://www.washingto[...]
[16]
웹사이트
Audio and transcript of interview
http://www.democracy[...]
2009-05
[17]
웹사이트
Sounds and Colours
http://www.soundsand[...]
[18]
간행물
The Open Veins of Eduardo Galeano
http://mrzine.monthl[...]
Monthly Review
2014-06-11
[19]
웹사이트
Monthly Review Open Veins of Latin America: Five Centuries of the Pillage of a Continent
https://monthlyrevie[...]
1992-12-31
[20]
문서
[21]
웹사이트
Search – List of Books by Eduardo Galeano
http://www.paperback[...]
Paperback Swap
2015-04-13
[22]
웹사이트
Open Veins of Latin America
http://monthlyreview[...]
Monthly Review Press
1992-12-31
[23]
뉴스
Chávez creates overnight bestseller with book gift to Obama
https://www.theguard[...]
2009-04-19
[24]
웹사이트
Eduardo Galeanos criticism his open veins taken lightly
https://panoramas.se[...]
[25]
뉴스
Looking back at Eduardo Galeano's masterpiece, 'Soccer in Sun and Shadow'
https://www.sbnation[...]
2015-04-13
[26]
웹사이트
Writer Eduardo Galeano dies
http://www.buenosair[...]
2015-04-13
[27]
뉴스
Eduardo Galeano, Uruguayan Voice of Anti-Capitalism, is Dead at 74
2015-04-14
[28]
뉴스
Eduardo Galeano, Latin American author and U.S. critic, dies at 74
https://www.latimes.[...]
2015-04-13
[29]
웹사이트
Past Honorees
http://humanrightsaw[...]
Global Exchange
[30]
뉴스
Stig Dagermanpriset till Eduardo Galeano
http://sverigesradio[...]
2010-09-12
[31]
뉴스
I år går Stig Dagermanpriset till författaren Eduardo Galeano
http://www.webfinans[...]
2010-08-18
[32]
뉴스
Argentine university awards posthumous "honoris causa" prize to Eduardo Galeano
https://aldianews.co[...]
Aldianews
[33]
웹사이트
Where the People Voted Against Fear
https://progressive.[...]
[34]
뉴스
'Chavez TV' beams into South America
https://www.theguard[...]
2005-07-26
[35]
뉴스
Eduardo Galeano se recupera de operación
https://archivo.elun[...]
2007-02-11
[36]
웹사이트
Obama Should Never Forget “The White House Was Built by Black Slaves”–Uruguayan Writer Eduardo Galeano
https://www.democrac[...]
2020-04-03
[37]
뉴스
Chavez Gives Obama A History Book
http://www.huffingto[...]
2020-04-03
[38]
웹사이트
Fresh Off Worldwide Attention for Joining Obama’s Book Collection, Uruguayan Author Eduardo Galeano Returns with “Mirrors: Stories of Almost Everyone”
https://www.democrac[...]
2020-04-03
[39]
문서
베네수엘라의 펑크 밴드 "Los Dolares" 가 2003년에 낸 앨범은 음악으로 해석한 『열린 정맥』이다. 아르헨티나의 록/스카 밴드 "Los Fabulosos Cadillacs"는 "Rey Azucar(설탕왕)" 이라는 제목의 앨범을 발매했다. 이것은 『열린 정맥』의 장 제목에서 따온 것이다. 이 앨범에는 "라틴 아메리카의 열린 정맥" 이라는 곡도 수록되어 있다. 브라질의 록 밴드 "[[:pt:Sub-versão|Sub-versão]]"는 "Veias Abertas"(포르투갈어로 "열린 정맥"을 의미)라는 제목의 곡을 녹음했으며, 『열린 정맥』에 언급하고 있다.
[40]
서적
20세기 인물 100과 사전
숨비소리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